에디터를 vim을 이용하여 개발하는것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IDE가 변경되면 빌드할 방법을 찾곤한다.
이번엔 STM32CubeIDE를 빌드하는방법을 써보겠다.
1. STM32CubeIDE command line으로 수행하기
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사용했다.
#!/bin/sh
CUR_PATH=`pwd -P`
PRJ_NAME="" #project명 작성
/Applications/STM32CubeIDE.app/Contents/MacOS/STM32CubeIDE --launcher.suppressErrors -nosplash -application org.eclipse.cdt.managedbuilder.core.headlessbuild -cleanBuild ${PRJ_NAME}/Release -import $CUR_PATH
2. make 사용
STM32CubeIDE는 arm-none-eabi-gcc를 이용하여 빌드를 한다. gcc를 인터넷에서 다운받아도 되는데 이미 설치된 파일이있는데 용량을 추가로 잡아먹는건 아까우니 해당 파일을 찾았다.
OSX를 사용하는 나의 경우엔 아래 경로에 위치해있다
/Applications/STM32CubeIDE.app/Contents/Eclipse/plugins/com.st.stm32cube.ide.mcu.externaltools.gnu-tools-for-stm32.10.3-2021.10.macos64_1.0.0.202111181127/tools/bin
그리하여 zshrc에 PATH를 추가했다.
export PATH=$HOME/.local/bin:$PATH:/Applications/STM32CubeIDE.app/Contents/Eclipse/plugins/com.st.stm32cube.ide.mcu.externaltools.gnu-tools-for-stm32.10.3-2021.10.macos64_1.0.0.202111181127/tools/bin
그러면 최초에 STM32CubeIDE를 통해 빌드하면 make 파일이 Release면 Release 폴더 내에 Debug면 Debug폴더 내에 옵션을 바꿨다면 그 폴더 내에 생성이 된다.
그 폴더 내에 들어가서 make를 수행하면된다.
속도가 느리니... j옵션을 사용하는것이 좋다.
'F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PF(low pass filter) (0) | 2022.01.27 |
---|---|
stm32 HAL timer(2) (0) | 2021.12.04 |
stm32 HAL timer(1) (0) | 2021.10.30 |
IAR Heap Stack size 조절 (0) | 2021.09.19 |
Hanning window (0) | 2021.09.19 |